맨위로가기

고흥 능가사 동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고흥 능가사 동종(高興 楞伽寺 銅鍾)은 전라남도 고흥군 능가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동종입니다. 2008년 3월 12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557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역사 및 제작:


  • 1698년(숙종 24년)에 제작되었습니다.
  • 조선 후기 주종장(鑄鐘匠)인 김애립(金愛立)이 만들었습니다.
  • 김애립은 17세기 후반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장인으로, 능가사 동종은 그의 작품 중 가장 뛰어난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작으로 평가됩니다.
  • 종신(鐘身)에 '강희삼십칠년무인삼월일 흥양팔영산능가사...(康熙三十七年戊寅三月日 興陽八影山楞伽寺...)'라는 명문이 있어 제작 시기와 장인을 알 수 있습니다.

형태 및 특징:

  • 높이 157cm, 무게 900kg입니다.
  • 전체적인 외형은 여성의 통치마를 펼쳐 놓은 모양으로, 상부가 좁고 아래로 가면서 점차 넓어지는 형태입니다.
  • 종 꼭대기 부분의 장식(용뉴, 龍紐)은 쌍룡으로, 정상에 여의주를 물고 있는 형태입니다. 음관(甬筒)은 없고, 그 자리에 작은 구멍을 뚫어 음관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 종신 윗면에는 이중의 연화문(蓮花紋) 장식이 있고, 그 아래로 범자대(梵字帶)가 둘러져 있습니다.
  • 종신 4면에는 두 줄의 띠를 두른 장방형의 유곽(乳廓)이 배치되어 있고, 그 안에 9개의 유두(乳頭)가 돌출되어 있습니다.
  • 유곽 사이사이에는 보살입상(菩薩立像)과 문호형(門戶形, 문짝 모양)이 유려하게 부조되어 있습니다. 문호형 안에는 '주상전하만만세(主上殿下萬萬歲)'라는 전패(殿牌, 임금을 상징하는 '殿'자를 새긴 패)가 새겨져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고 있습니다.
  • 종신의 중앙에는 주역의 건곤(乾坤) 8괘가 있는데, 이는 조선시대 범종에서 보기 드문 특이한 양식입니다.
  • 웅건한 용뉴 표현, 단정한 보살입상, 정교한 세부 문양 등에서 김애립의 완숙한 기량이 잘 드러나 있으며, 17세기를 대표하는 범종으로 평가됩니다.

참고:

  • 능가사 동종은 김애립이 33년 전에 만든 여수 흥국사 동종(보물)과 유사합니다.
  • 능가사는 팔영산 아래에 위치하며, 원래 보현사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후 인조 22년(1644)에 중창하면서 능가사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고흥 능가사 동종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흥 능가사 동종
고흥 능가사 동종
이름고흥 능가사 동종
지정 번호보물 제1557호
지정일2008년 3월 12일
소재지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37, 능가사
시대조선 중기
문화재청 ID12,15570000,36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정보 (해지)
문화재 명칭능가사범종
지정 번호유형문화재 제69호
지정일1978년 9월 22일
해지일2008년 3월 12일
문화재청 ID21,00690000,3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